- 문윤희 기자/ 승인 2023-03-15 07:15
ADC, 치매치료제, 진통제 등을 개발해 빅파마에 기술수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제네릭의약품 게보린, 항혈전제 플라리스로 명성을 쌓아온 삼진제약은 R&D 전문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는 기반을 지속적으로 마련하고 있습니다.
혁신신약 개발을 통해 글로벌 제약회사를 지향하는 마곡연구소는 2021년 12월 가동을 시작했으며, 이어 이수민 연구소장을 지난해 2022년.
이후 센터장을 필두로 삼진제약은 인공지능 개발업체(Cyclica, Simplex, Oncobix, Inseribro)와 협약을 맺었고, 이어 표적단백질 분해 전문 개발업체(Pin Therapeutics)와 항체-약물접합체 개발사(노벨티노빌리티)와 공동연구협약 체결
이와 함께 퇴행성 뇌질환 및 치매 전문기업 아리바이오와 함께 경구용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AR1001의 공동임상 3상을 추진하는 한편, 나. 독점적인 제조 및 유통권을 확보하고 성과를 내기 위해 노력한다.
지난해 90여명의 연구인력이 14개 초기 파이프라인을 발굴해 연구에 돌입했고, 삼진제약은 매출액의 10% 이상을 연구개발비로 지출하는 등 본격적인 기반 구축에도 균형을 맞추고 있다.
이상민 삼진제약 마곡연구센터장은 2월 10일 대한제약바이오 기자간담회에서 “암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치료제와 진통제를 핵심 개발로 파악했다”고 밝혔다. 목표. 현재 면역항암제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분야에서 10개 이상의 초기 파이프라인을 구축했으며, 앞으로 더 많은 초기 단계 노력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엔허투 등 항체약물결합체(ADC) 붐에 힘입어 삼진제약도 이 분야에서 성과를 내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이 센터장은 “삼진제약은 저분자 화합물 개발에 30년 이상의 탁월한 노하우를 갖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차세대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는 ADC 페이로드와 TPD 탄두에 삼진제약의 저분자 개발 노하우가 더해지면 치료제 개발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것.”
신약개발의 핵심인 ‘AI 플랫폼’ 구축 추진

삼진제약도 AI(인공지능) 플랫폼을 적극 활용해 후보 물질을 보강하고 신약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상민 센터장은 “글로벌 대형 제약사 수준의 물질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중견 제약사가 물적, 인적 자원의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의
삼진제약은 임상 및 전임상(GLP-tox) 등 개발 단계별 파이프라인 구축과 초기 후보물질 발굴에 주력할 계획이다.
이 단장은 “중장기 로드맵을 통해 향후 5년 내 임상 1상 과제 4개와 전임상 10개 단계를 추진할 예정이다. 목표를 달성하겠다”고 말했다.
또 “10년 안에 5건의 계약을 추진해 시판허가를 받은 신약을 1개 이상 보유하는 기업이 되는 것을 목표로 연구개발을 하겠다”며 “앞으로 5건의 계약을 추진해 시판허가를 받은 기업이 되도록 연구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새로운 트렌드를 위한 플랫폼을 가진 기업이 되겠습니다.”
신약개발에 주력하는 제약회사에 대한 정부 지원 확대돼야

이상민 센터장은 신약 개발에 주력하는 국내 제약사에 대한 정부 지원을 더욱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또 정부는 각 정부가 설립한 제약산업진흥협의회에서 제약회사의 의견이 폭넓게 수렴될 수 있도록 위원회 구성에서 제약회사의 비중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이 이사는 “신약 개발에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정부 R&D 지원 서비스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산업계는 AI를 통한 신약 개발에 나서고 있고, 정보통신부는 AI 기업이 담당하고 있다”며 “신약 개발에는 업종이 많기 때문에 균형 잡힌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약 개발을 위한 인프라 확충을 위한 국가 투자 지원도 필요하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센터장은 “연구개발에 필요한 인력이 부족하고 합성 분야는 우리가 더 취약하다”고 지적하며 “중국이나 인도를 통해 쉽고 저렴하게 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결국 부메랑을 타고 우리에게 돌아오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우슈제약은 중국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국가 차원의 정보·인프라 불균형이 계속된다면 장기적으로 위기에 직면할 것”이라며 “교육이 시급하다”고 말했다.